https://coinness.com/news/1140954
고팍스하면 상징적 코인이 크레딧 코인이라 반응 오는듯 ㅋㅋ
근데 김프가 너무 높다.
바이낸스가 고팍스 인수 완료했다고 함.
고팍스하면 상징적 코인이 크레딧 코인이라 반응 오는듯 ㅋㅋ
근데 김프가 너무 높다.
바이낸스가 고팍스 인수 완료했다고 함.
금이 최고가를 갱신하고, HIP-3를 통해 예측 시장, 미국 주식, 원자재 상품들이 출시될 예정이니
점점 더 알트코인 수요는 아쉬울 것 같은 느낌.
뭔가 그렇지 않나요? 잘 모름.
점점 더 알트코인 수요는 아쉬울 것 같은 느낌.
뭔가 그렇지 않나요? 잘 모름.
👍7
Forwarded from 코인맵핵 🎈
✅ YieldBasis ($YB) 스테이킹 계속 되는중
- 전체 TVL $300M 돌파
- 거래볼륨 높아지면서 플랫폼 스왑 수수료 수익 급증중
- 900만개 이상의 $YB (유통량의 8.86%)가 이미 락업
- 152만개 $YB는 영구락업(4년 자동 갱신)
현재는 $YB가격은 조정으로 스테이킹 진입하기 좋은 타이밍
특히 $YB 영구락업시 플랫폼 수수료와 보상 최대로 획득 가능하다고 함
Curve 초창기 영구 락업한 사람들처럼 달달한 연금 수익이 될 수 잇음
락업 포지션 NFT로 발행되기때문에 언제든지 판매하여 유동성 확보가능하다고 함
YieldBasis Dune ( BTC / YB토큰)
YB 내러티브 참고원문
#yieldbasis #legion
- 전체 TVL $300M 돌파
- 거래볼륨 높아지면서 플랫폼 스왑 수수료 수익 급증중
- 900만개 이상의 $YB (유통량의 8.86%)가 이미 락업
- 152만개 $YB는 영구락업(4년 자동 갱신)
현재는 $YB가격은 조정으로 스테이킹 진입하기 좋은 타이밍
특히 $YB 영구락업시 플랫폼 수수료와 보상 최대로 획득 가능하다고 함
Curve 초창기 영구 락업한 사람들처럼 달달한 연금 수익이 될 수 잇음
락업 포지션 NFT로 발행되기때문에 언제든지 판매하여 유동성 확보가능하다고 함
YieldBasis Dune ( BTC / YB토큰)
YB 내러티브 참고원문
#yieldbasis #legion
❤1
Forwarded from 🔥요블이 세상살이🔥 (요블이 (✧ᴗ✧))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와 나 영상녹화하는데 소름돋았네
Forwarded from X iticle
"Cobie는 billionaire야 맞지?"
사람들이 이런 주장을 할 때마다 저는 항상 그들이 어떻게 이렇게 생각하는지, 혹은 10억 달러가 실제로 얼마나 큰돈인지에 대해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집니다.
저는 200달러를 가지고 암호화폐 시장에 들어왔습니다. 만약 제가 처음 샀던 비트코인을 그때부터 지금까지 거래 한 번 없이 계속 보유했다면, 약 30만 달러를 갖게 됐을 겁니다.
만약 대신에, 그 순간부터 모든 암호화폐 사이클의 최고점에서 팔고 최저점에서 비트코인을 샀다면, 그리고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다면, 저는 약 6백만 달러를 가졌을 겁니다.
만약 제가 제 모든 순자산을 이더리움 ICO에 투자하고 한 번도 건드리지 않았다면, 오늘날 세전 약 1억 5천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을 겁니다.
시장에 있었던 기회들로 10억 달러 이상을 버는 것이 분명 가능했지만, 이러한 시나리오들은 제가 단 한 번의 실수도 하지 않고, 실생활에서 돈을 쓸 필요도 없으며, 레버리지를 통해 과도한 위험을 감수할 필요도 없었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현실에서 저는 노동자 계층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물려받은 재산도 없었고 학자금 대출도 직접 갚아야 했습니다. 고등학교 때는 테스코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죠. 대학 졸업 후에는 월세를 내고 생활비를 충당해야 했고, 결국에는 살 집도 사야 했습니다.
저는 스타트업에서 비교적 적은 연봉을 받으며 일했고, 그중 몇몇은 괜찮게 성장했지만 여전히 비유동 자산이라 어떤 형태의 엑시트가 있기 전까지는 아무 가치가 없습니다.
어쩌면 제가 저질렀던 몇 번의 바보 같은 실수와 자산 하락을 지울 수 있거나, 혹은 조금만 더 열심히 했다면 오늘날 제 대답은 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완벽한 hindsight vision(지나고 나서야 보이는 것)을 가지고 말하기는 쉽습니다. 어디서 더 최적화할 수 있었는지 보기 쉽고, 과거가 모든 것을 너무나 명확하게 만들어주기에 당시의 결정들이 어리석어 보이죠.
진실은 저는 언제나 제 인생을 즐기는 것과 자산이 0이 되지 않는 것에 최적화해왔다는 것입니다. 저는 안전망이 있다고 느껴본 적이 없어서, 다른 어떤 방식으로도 행동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만약 제가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거나 돈을 더 맹렬히 쫓았다면 아마 돈을 더 적게 벌었을 겁니다. 자신의 전 재산을 걸고 하는 것은 엄청난 정신적 싸움이고, 저는 그 판돈이 낮을 때만 그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고 느낍니다.
이 글을 쓰다 보니, 어쩌면 CT(크립토 트위터) 사람들이 왜 그렇게 믿는지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현대의 CT는 암호화폐를 막판 뒤집기를 위한 복권판으로 보기 때문이죠. 그들에게 최적의 전략은 좋은 20%의 움직임을 잡아내고 떠나기 위해 포트폴리오에 5배 레버리지를 거는 것입니다. 혹은, 말 그대로 Ansem이 산다고 들은 다음 코인에 올인하는 것이죠. 그러니 아마 그들에게는, 과거 차트를 돌아볼 때 성공한 사람들이 당연히 그렇게 했다고 생각할 겁니다.
현실에서 저는 레버리지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통 위험을 더하기보다 줄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지난 5년간 위험을 더하기 위해 쓴 것은 아마 세 번 정도이고, 제 인생 전체를 통틀어도 15번 정도일 겁니다). 저는 어떤 것에도 절대 올인하지 않으며, 지난 10년간 그렇게 했던 것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뿐입니다. 다른 자산을 살 때는, 그것이 증명되기 전까지는 가치가 0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주 적은 금액으로 위험을 제한합니다 (그래서 항상 유동 포트폴리오의 1% 미만으로 투자합니다). 또한 미래에 제가 저지를 수 있는 실수에 대비하기 위해, 유동 포트폴리오는 전체 포트폴리오에서도 더 작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물론 저는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이 시장에 12년이나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CT는 "10년 만에 부자 되기" 같은 이야기는 듣고 싶어 하지 않죠. 저는 지금 제 위치에 만족하며, 돈을 최대로 버는 것에는 별로 신경 쓰거나 최적화한 적이 없습니다. 대신 우리가 함께 즐기는 이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멋진 삶을 사는 것을 우선시했습니다.
출처
사람들이 이런 주장을 할 때마다 저는 항상 그들이 어떻게 이렇게 생각하는지, 혹은 10억 달러가 실제로 얼마나 큰돈인지에 대해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집니다.
저는 200달러를 가지고 암호화폐 시장에 들어왔습니다. 만약 제가 처음 샀던 비트코인을 그때부터 지금까지 거래 한 번 없이 계속 보유했다면, 약 30만 달러를 갖게 됐을 겁니다.
만약 대신에, 그 순간부터 모든 암호화폐 사이클의 최고점에서 팔고 최저점에서 비트코인을 샀다면, 그리고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다면, 저는 약 6백만 달러를 가졌을 겁니다.
만약 제가 제 모든 순자산을 이더리움 ICO에 투자하고 한 번도 건드리지 않았다면, 오늘날 세전 약 1억 5천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을 겁니다.
시장에 있었던 기회들로 10억 달러 이상을 버는 것이 분명 가능했지만, 이러한 시나리오들은 제가 단 한 번의 실수도 하지 않고, 실생활에서 돈을 쓸 필요도 없으며, 레버리지를 통해 과도한 위험을 감수할 필요도 없었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현실에서 저는 노동자 계층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물려받은 재산도 없었고 학자금 대출도 직접 갚아야 했습니다. 고등학교 때는 테스코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죠. 대학 졸업 후에는 월세를 내고 생활비를 충당해야 했고, 결국에는 살 집도 사야 했습니다.
저는 스타트업에서 비교적 적은 연봉을 받으며 일했고, 그중 몇몇은 괜찮게 성장했지만 여전히 비유동 자산이라 어떤 형태의 엑시트가 있기 전까지는 아무 가치가 없습니다.
어쩌면 제가 저질렀던 몇 번의 바보 같은 실수와 자산 하락을 지울 수 있거나, 혹은 조금만 더 열심히 했다면 오늘날 제 대답은 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완벽한 hindsight vision(지나고 나서야 보이는 것)을 가지고 말하기는 쉽습니다. 어디서 더 최적화할 수 있었는지 보기 쉽고, 과거가 모든 것을 너무나 명확하게 만들어주기에 당시의 결정들이 어리석어 보이죠.
진실은 저는 언제나 제 인생을 즐기는 것과 자산이 0이 되지 않는 것에 최적화해왔다는 것입니다. 저는 안전망이 있다고 느껴본 적이 없어서, 다른 어떤 방식으로도 행동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만약 제가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거나 돈을 더 맹렬히 쫓았다면 아마 돈을 더 적게 벌었을 겁니다. 자신의 전 재산을 걸고 하는 것은 엄청난 정신적 싸움이고, 저는 그 판돈이 낮을 때만 그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고 느낍니다.
이 글을 쓰다 보니, 어쩌면 CT(크립토 트위터) 사람들이 왜 그렇게 믿는지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현대의 CT는 암호화폐를 막판 뒤집기를 위한 복권판으로 보기 때문이죠. 그들에게 최적의 전략은 좋은 20%의 움직임을 잡아내고 떠나기 위해 포트폴리오에 5배 레버리지를 거는 것입니다. 혹은, 말 그대로 Ansem이 산다고 들은 다음 코인에 올인하는 것이죠. 그러니 아마 그들에게는, 과거 차트를 돌아볼 때 성공한 사람들이 당연히 그렇게 했다고 생각할 겁니다.
현실에서 저는 레버리지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통 위험을 더하기보다 줄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지난 5년간 위험을 더하기 위해 쓴 것은 아마 세 번 정도이고, 제 인생 전체를 통틀어도 15번 정도일 겁니다). 저는 어떤 것에도 절대 올인하지 않으며, 지난 10년간 그렇게 했던 것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뿐입니다. 다른 자산을 살 때는, 그것이 증명되기 전까지는 가치가 0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주 적은 금액으로 위험을 제한합니다 (그래서 항상 유동 포트폴리오의 1% 미만으로 투자합니다). 또한 미래에 제가 저지를 수 있는 실수에 대비하기 위해, 유동 포트폴리오는 전체 포트폴리오에서도 더 작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물론 저는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이 시장에 12년이나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CT는 "10년 만에 부자 되기" 같은 이야기는 듣고 싶어 하지 않죠. 저는 지금 제 위치에 만족하며, 돈을 최대로 버는 것에는 별로 신경 쓰거나 최적화한 적이 없습니다. 대신 우리가 함께 즐기는 이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멋진 삶을 사는 것을 우선시했습니다.
출처
🔥3
https://helixapp.com/futures/apr-usdt-perp/
모나드 LST aPriori (Jito와 역할 유사)
FDV $2B에 사전 거래 중. (가격 발견 안됨, 조심)
Injective Perp인 Helix에서 지원하는거라 유동성 거의 없네요.
모나드 LST aPriori (Jito와 역할 유사)
FDV $2B에 사전 거래 중. (가격 발견 안됨, 조심)
Injective Perp인 Helix에서 지원하는거라 유동성 거의 없네요.
$Zora 기반 Dog Token 유행?
https://x.com/0xCryptoSam/status/1979757805625024801
https://zora.co/@isha_dog
딱히 토큰들은 안사도 될 것 같고 그냥 이런 작은 유행이 있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요. (시총이 너무 작아서 리스키함)
채널에 올릴 정도의 유행은 아닌데 포텐셜이 있어보임.
개 토큰 자체가 크립토에서 성공 공식으로 유명하고
체인 출현하면 매번 실험적으로 동물 토큰 출현함
(예: Unichain 등장 -> $UNIDOG, $UNICAT 등등 출현)
& 베이스 토큰 기대감으로 조라에 대한 관심도가 어느 정도 깔려있음.
https://x.com/0xCryptoSam/status/1979757805625024801
https://zora.co/@isha_dog
2025년 기준 인스타그램에는 애완동물 인플루언서가 약 200만 계정이 존재하고, 총 팔로워 수는 400억 명 이상(고유 사용자 아님)이라고 함. 이는 조라와 같은 소셜 플랫폼에서 애완동물과 관련된 내러티브의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는 뜻.
딱히 토큰들은 안사도 될 것 같고 그냥 이런 작은 유행이 있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요. (시총이 너무 작아서 리스키함)
채널에 올릴 정도의 유행은 아닌데 포텐셜이 있어보임.
개 토큰 자체가 크립토에서 성공 공식으로 유명하고
체인 출현하면 매번 실험적으로 동물 토큰 출현함
(예: Unichain 등장 -> $UNIDOG, $UNICAT 등등 출현)
& 베이스 토큰 기대감으로 조라에 대한 관심도가 어느 정도 깔려있음.
👍2
지금 시장 자체가 쪼그라들어서 유행 규모 자체가 작아짐.
규모가 작아진 만큼 리스크는 높아졌는데 기회는 여전히 있음.
크립토 시장 특성 상 약세장에 진입하면 Cex 거래량은 줄어들면서
리테일들은 빠져나가고 Dex에서 트렌드가 등장하는 경우가 많음.
비교적 Cex Token보다는 Dex Token의 가격을 움직여 관심도를 높이는 것이 비용적으로 훨씬 저렴하기 때문.
그런데 또 Cex가 죽었으니 훨씬 이 효과는 올라감.
올해 $KEETA가 그나마 대표적 사례라 생각.
Cex 거래량은 줄어들면서 Dex에서는 4월부터 "전 구글 CEO가 투자한 RWA Chain"이라는 요상한 내러티브가 생기기 시작. 그리고 가격 급등.
토큰이 스캠이냐와 별개로 돈 벌려면 이런 구조 이해하면 좋음.
= 기회의 관점에서 자신 있으면 약세장에는 Dex & Onchain 집중하면 좋다.
규모가 작아진 만큼 리스크는 높아졌는데 기회는 여전히 있음.
크립토 시장 특성 상 약세장에 진입하면 Cex 거래량은 줄어들면서
리테일들은 빠져나가고 Dex에서 트렌드가 등장하는 경우가 많음.
비교적 Cex Token보다는 Dex Token의 가격을 움직여 관심도를 높이는 것이 비용적으로 훨씬 저렴하기 때문.
그런데 또 Cex가 죽었으니 훨씬 이 효과는 올라감.
올해 $KEETA가 그나마 대표적 사례라 생각.
Cex 거래량은 줄어들면서 Dex에서는 4월부터 "전 구글 CEO가 투자한 RWA Chain"이라는 요상한 내러티브가 생기기 시작. 그리고 가격 급등.
토큰이 스캠이냐와 별개로 돈 벌려면 이런 구조 이해하면 좋음.
= 기회의 관점에서 자신 있으면 약세장에는 Dex & Onchain 집중하면 좋다.
❤5👍3
Opionion Labs, 포인트 프로그램 출시 예정.
(BNB 체인 예측 시장)
- 고정 포인트 구조, 시간 지날수록 유행 확장되면 앞 전에 캔 포인트의 가치는 N배 상승 가능.
- Yzi Labs 리드 투자($5m) & BNB 체인 채택, 과거 이 프로젝트는 모나드 생태계 디앱이었음. BNB에서 예측 시장 욕심 생겨서 데려온 것 같음.
- 예측 시장처럼 행동이 요구되는 카테고리는 다양한 전략이 접목 가능하여 비교적 디파이 예치작보다 부지런한 개미에게 유리함.
= 하면 좋음.
디코 보니 아직 코드 배포 안했다고 하니까 지켜봅시당.
(BNB 체인 예측 시장)
- 고정 포인트 구조, 시간 지날수록 유행 확장되면 앞 전에 캔 포인트의 가치는 N배 상승 가능.
- Yzi Labs 리드 투자($5m) & BNB 체인 채택, 과거 이 프로젝트는 모나드 생태계 디앱이었음. BNB에서 예측 시장 욕심 생겨서 데려온 것 같음.
- 예측 시장처럼 행동이 요구되는 카테고리는 다양한 전략이 접목 가능하여 비교적 디파이 예치작보다 부지런한 개미에게 유리함.
= 하면 좋음.
디코 보니 아직 코드 배포 안했다고 하니까 지켜봅시당.
돈포하 I Dont focus on hype
$Zora 기반 Dog Token 유행? https://x.com/0xCryptoSam/status/1979757805625024801 https://zora.co/@isha_dog 2025년 기준 인스타그램에는 애완동물 인플루언서가 약 200만 계정이 존재하고, 총 팔로워 수는 400억 명 이상(고유 사용자 아님)이라고 함. 이는 조라와 같은 소셜 플랫폼에서 애완동물과 관련된 내러티브의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는 뜻. 딱히 토큰들은 안사도 될…
온체인 경험치를 기르기 위해
$1,000 비용 지불했습니다.
전손. (따라사지마세요, 제발~~)
$1,000 비용 지불했습니다.
전손. (따라사지마세요, 제발~~)
😁5
https://www.ycombinator.com/companies/kalshi/jobs/2KwXm0W-marketing-stunt-man-or-woman-or-whatever
칼시 연봉 뭐임? 최대 100억인데. ㅋㅋㅋㅋ
관련 인플루언서 뽑나봄.
칼시 연봉 뭐임? 최대 100억인데. ㅋㅋㅋㅋ
관련 인플루언서 뽑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