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LHOESOO Telegram 882
4Q24 SKIET 실적 컨퍼런스콜

매출 593억원 (+17%qoq, 판매량 증가)
영업적자 -919억원(적자확대, 낮은 가동률과 재고관련 일회성 비용(308억원))

2024년 2411억원. 폴란드 공장 잔여 capex 1000억원. 이후 큰 지출 없음

2025년

기존 주요고객사 수요 늘어날듯
원단 신규고객사 , 판매량 전년대비 상당수준 성장세 기대
주요고객사와 판가기준이 USD로 변경, 환율 변동따른 매출변동효과 발생할 것
적정 재고 도달시까지 진행하겠지만 새 프로젝트 시작으로 전반적 가동률은 2025년 개선될 것
생산사이트 최적화, 원가 경쟁력 강화할 것, 원단생산공정에 ai기술 도입해 원가 절감 중

고객사 및 제품 포트폴리오

북미 핵심 고객사와 관계 강화중 , 작년 하반기부터 출하중, 해당 고객 대상 차세대 배터리용 분리막 개발도 하고 중장기 협력관계 강화중
북미쪽 신규 프로젝트 수주 노력중.
글로벌 배터리사 대량 수주 성공, 상반기부터 출하 예정
그외에도 중국, 일본 고객사 ess, 국내 고객사 ev향 논의 중
전기차용 각형 lfp 분리막 수주 완료. 이로 다양한 폼팩터 및 양극재 물성에 맞는 분리막 수주 모두 완료
ess용 분리막 납품도 수주 논의 중


Q&A
1. 지역별 가동률 및 고객사 비중
원단기준 전체 가동률이 많이 떨어짐. 한국 중국 폴란드 모두 20%대 초반.

2. 25년도 예상 판매량 및 가동률
판매량은 예측이 힘듦. 작년 고객 재고가 상당히 소진된것으로 파악됨.
작년대비 70~100% 판매량 늘리는 것을 목표로함.
2024년에는 캡티브(jv포함) 비중 70% 중반
25년엔 60% 중반대까지 낮아질 것. 타

3. LFP 분리막 수주, 규모가 큰데, 프로젝트 소개 부탁
고객다변화 노력의 첫 신호탄. 고객사는 공개할 수 없으나 각형 LFP 배터리향 분리막 원단.
배터리 셀은 상용차 ev 프로젝트에 탑재 될 것. 이번 계약은 phase1이고 phase2~3까지 지속될 것
25년부터 초도 물량, 26년부터 유의미한 판매물량 지속될 것.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중국 업체들이 주로 납품하던 제품을 우리가 한다는 것에 의미

4. 올해 asp
주요 고객사와 원화로 계약되었던것을 2025년 달러베이스로 모두 바꿨음

5. 흑자 전환시기
가동률 불확시성이 높아 잘 모르겠다. 다만 적자폭은 계속 개선되리 것

5. 적정재고 도달 시점

적정 재고량은 3개월 치. 판매량 증대로 인해 적정 재고 수준에 올해 안에 도달 가능할 듯

6. 올해 추가 수주 가능성? 고객 확보 가능성?
미국- 캡티브 고객사 대상으로 물량 계속 늘어날 것
중국- 메이저 셀사 2개사가 북미, 유럽 공장 증설 진행 중인데 트럼프 정부 불확실성 고려해 비중국 분리막 업체 선호도 높아지는 중. 당사와 논의중. 한업체는 1Q내에 성과로 연결 될 듯
국내 - 메이저 고객사 중 한 업체와는 it향으로 많이 했는데 2월 중 폴란드향 audit 진행 할 듯. 페이퍼워크는 검토 다 되었고 현장 검증 통해 업체 등록 할 것. 이후 유럽향, 미국향 EV물량 확보 위한 논의 진행될 것. 스텔란티스향 원단공급 PO나오면 3월부터 공급개시 될 듯.
원단외에도 북미향 신규폼팩터 테스트 ccs 직납논의 진행 중.
아시아- 일본 주요 고객사와 신흥시장인 인도 등에서 ESS용 공급 관련 논의 진행 중.
유럽- 셀 개발 업체 많음. 최근 신규 업체와 논의는 지속 중.

7. ess향 분리막 대응 상황
실제로 아시아시장에 ESS 프로젝트가 많이 늘어나는 중. 일본 고객사 및 중국 고객사와 논의 중.

8. 4분기 일회성 비용 breakdown
90% 이상이 대부분 평가손실. 고객사에 제품 판매할 때 품질에 개런티를 해주는 부분이 있음.
그래서 오래된 재고는 보수적 측면에서 회계상 평가손실 잡았음
나머지는 원재료 재공품 등 저가법 평가손실
그 외 각 사이트별 유형자산손상 차손

9. IRA 관련
주정부차원에서도 여러 수단이 있어서 약간 변동, 축소 가능성은 있으나 사업 방향성 크게 바꿀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소비자 세액공제는 사라지더라도 ampc는 유지될 것으로 봄. ampc 받기 위해 현지 부품 조달 유도하는 시장이 될 듯. 따라서 북미 지역 투자 필요할 수도 있음. 시장 살피면서 capex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짜겠다
중국 10% 관세가 점점 높아질 것이라는 의미가 있어서 중국산 대비 경쟁력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감 존재
feoc도 완전히 없어지기보다는 ampc와 관련되는 방향으로 변할 듯..따라서 탈중국 기조는 계속 기대함.

10. 2025 capex
대규모는 거의 작년에 끝났고 폴란드 이연된것 올해 1000억원 정도+경상투자 100억 이내에서 집행될듯. 26년 이후는 정상투자가 100억대정도로 유지될 것

11. 폴란드 공장 북미고객사 소형 전지 프로젝트 진행상황?

물성 요구 강화되고 있어서 시간 걸리는 중. 폴란트 2차 가동은 아직 유동적. 올해 4분기 전후 예상.

12. 원가 절감 방안
품질 관련 AI도입. 빅데이터 이용 , 어느 공정에서 불량 발생하나 도출. 올해부터 도입 가능할 듯
자동화 설비나 스마트팩토리도 가능



tgoop.com/steelhoesoo/882
Create:
Last Update:

4Q24 SKIET 실적 컨퍼런스콜

매출 593억원 (+17%qoq, 판매량 증가)
영업적자 -919억원(적자확대, 낮은 가동률과 재고관련 일회성 비용(308억원))

2024년 2411억원. 폴란드 공장 잔여 capex 1000억원. 이후 큰 지출 없음

2025년

기존 주요고객사 수요 늘어날듯
원단 신규고객사 , 판매량 전년대비 상당수준 성장세 기대
주요고객사와 판가기준이 USD로 변경, 환율 변동따른 매출변동효과 발생할 것
적정 재고 도달시까지 진행하겠지만 새 프로젝트 시작으로 전반적 가동률은 2025년 개선될 것
생산사이트 최적화, 원가 경쟁력 강화할 것, 원단생산공정에 ai기술 도입해 원가 절감 중

고객사 및 제품 포트폴리오

북미 핵심 고객사와 관계 강화중 , 작년 하반기부터 출하중, 해당 고객 대상 차세대 배터리용 분리막 개발도 하고 중장기 협력관계 강화중
북미쪽 신규 프로젝트 수주 노력중.
글로벌 배터리사 대량 수주 성공, 상반기부터 출하 예정
그외에도 중국, 일본 고객사 ess, 국내 고객사 ev향 논의 중
전기차용 각형 lfp 분리막 수주 완료. 이로 다양한 폼팩터 및 양극재 물성에 맞는 분리막 수주 모두 완료
ess용 분리막 납품도 수주 논의 중


Q&A
1. 지역별 가동률 및 고객사 비중
원단기준 전체 가동률이 많이 떨어짐. 한국 중국 폴란드 모두 20%대 초반.

2. 25년도 예상 판매량 및 가동률
판매량은 예측이 힘듦. 작년 고객 재고가 상당히 소진된것으로 파악됨.
작년대비 70~100% 판매량 늘리는 것을 목표로함.
2024년에는 캡티브(jv포함) 비중 70% 중반
25년엔 60% 중반대까지 낮아질 것. 타

3. LFP 분리막 수주, 규모가 큰데, 프로젝트 소개 부탁
고객다변화 노력의 첫 신호탄. 고객사는 공개할 수 없으나 각형 LFP 배터리향 분리막 원단.
배터리 셀은 상용차 ev 프로젝트에 탑재 될 것. 이번 계약은 phase1이고 phase2~3까지 지속될 것
25년부터 초도 물량, 26년부터 유의미한 판매물량 지속될 것.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중국 업체들이 주로 납품하던 제품을 우리가 한다는 것에 의미

4. 올해 asp
주요 고객사와 원화로 계약되었던것을 2025년 달러베이스로 모두 바꿨음

5. 흑자 전환시기
가동률 불확시성이 높아 잘 모르겠다. 다만 적자폭은 계속 개선되리 것

5. 적정재고 도달 시점

적정 재고량은 3개월 치. 판매량 증대로 인해 적정 재고 수준에 올해 안에 도달 가능할 듯

6. 올해 추가 수주 가능성? 고객 확보 가능성?
미국- 캡티브 고객사 대상으로 물량 계속 늘어날 것
중국- 메이저 셀사 2개사가 북미, 유럽 공장 증설 진행 중인데 트럼프 정부 불확실성 고려해 비중국 분리막 업체 선호도 높아지는 중. 당사와 논의중. 한업체는 1Q내에 성과로 연결 될 듯
국내 - 메이저 고객사 중 한 업체와는 it향으로 많이 했는데 2월 중 폴란드향 audit 진행 할 듯. 페이퍼워크는 검토 다 되었고 현장 검증 통해 업체 등록 할 것. 이후 유럽향, 미국향 EV물량 확보 위한 논의 진행될 것. 스텔란티스향 원단공급 PO나오면 3월부터 공급개시 될 듯.
원단외에도 북미향 신규폼팩터 테스트 ccs 직납논의 진행 중.
아시아- 일본 주요 고객사와 신흥시장인 인도 등에서 ESS용 공급 관련 논의 진행 중.
유럽- 셀 개발 업체 많음. 최근 신규 업체와 논의는 지속 중.

7. ess향 분리막 대응 상황
실제로 아시아시장에 ESS 프로젝트가 많이 늘어나는 중. 일본 고객사 및 중국 고객사와 논의 중.

8. 4분기 일회성 비용 breakdown
90% 이상이 대부분 평가손실. 고객사에 제품 판매할 때 품질에 개런티를 해주는 부분이 있음.
그래서 오래된 재고는 보수적 측면에서 회계상 평가손실 잡았음
나머지는 원재료 재공품 등 저가법 평가손실
그 외 각 사이트별 유형자산손상 차손

9. IRA 관련
주정부차원에서도 여러 수단이 있어서 약간 변동, 축소 가능성은 있으나 사업 방향성 크게 바꿀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소비자 세액공제는 사라지더라도 ampc는 유지될 것으로 봄. ampc 받기 위해 현지 부품 조달 유도하는 시장이 될 듯. 따라서 북미 지역 투자 필요할 수도 있음. 시장 살피면서 capex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짜겠다
중국 10% 관세가 점점 높아질 것이라는 의미가 있어서 중국산 대비 경쟁력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감 존재
feoc도 완전히 없어지기보다는 ampc와 관련되는 방향으로 변할 듯..따라서 탈중국 기조는 계속 기대함.

10. 2025 capex
대규모는 거의 작년에 끝났고 폴란드 이연된것 올해 1000억원 정도+경상투자 100억 이내에서 집행될듯. 26년 이후는 정상투자가 100억대정도로 유지될 것

11. 폴란드 공장 북미고객사 소형 전지 프로젝트 진행상황?

물성 요구 강화되고 있어서 시간 걸리는 중. 폴란트 2차 가동은 아직 유동적. 올해 4분기 전후 예상.

12. 원가 절감 방안
품질 관련 AI도입. 빅데이터 이용 , 어느 공정에서 불량 발생하나 도출. 올해부터 도입 가능할 듯
자동화 설비나 스마트팩토리도 가능

BY 안회수 DB 이차전지/철강금속


Share with your friend now:
tgoop.com/steelhoesoo/882

View MORE
Open in Telegram


Telegram News

Date: |

More>> Read now Activate up to 20 bots Telegram offers a powerful toolset that allows businesses to create and manage channels, groups, and bots to broadcast messages, engage in conversations, and offer reliable customer support via bots. Developing social channels based on exchanging a single message isn’t exactly new, of course. Back in 2014, the “Yo” app was launched with the sole purpose of enabling users to send each other the greeting “Yo.”
from us


Telegram 안회수 DB 이차전지/철강금속
FROM American